음정이란 두 음간의 거리를 음정이라 합니다.
다음 장음계의 음정을 살펴볼까요?
![]() |
![]() |
다음은 몇도의 음정일까요? (마우스로 가로 안을 긁어보면 정답이보여여...)
![]() |
( 2도 ) | ( 4도 ) | ( 4도) | ( 3도 ) |
![]() |
( 5도 ) | ( 6도 ) | ( 6도) | ( 6도 ) |
이 음정의 거리는 반음의 차이 때문에 장음정과 단음정으로 나뉩니다.
예를 들어 미파와 시도의 사이에는 검은 건반이 없어서 다른 음들이 온음(반음2개)인 것에 비해 반음입니다. 따라서 같은 2도 사이라도 어느 것은 반음이 2개이고 어느 것은 반음이 1개입니다.
![]() |
장 2도인지 단2도인지 쓰세요...(마우스로 긁으면 정답이 보여여...)
![]() |
(장2도) | (단2도) | (장2도) | (단2도) | (장2도) |
반음3개 | 반음2개 | 반음3개 | 반음2개 | 반음3개 |
3도의 기리를 가진 음정도 장음정과 단음정으로 나뉩니다.
장3도의 경우는 반음이 4개인 것에 비해 단3도는 반음이 3개입니다.
다음 장3도인지 단3도인지 구분해서 쓰세요.
|
(장3도) |
(장3도) |
(장3도) |
(단3도) |
(단3도) |
(단3도) |
다음은 다음계에서 도에서 도가지 차례로 3도씩 쌓은 3화음입니다.
![]() *주요3화음 (1도, 4도, 5도 화음은 대문자로 표기합니다!) |
여기서 대문자로 쓰인 것은 반음의 문제가 없는 1도와 4도 5도 8도 입니다.
이 음정을 우리는 완전 음정이라고 합니다.
음정의 거리가 1,4,5,8 도 인 것은 5도안에서는 장과 단이 구분 없이 반음이 한 개, 8도의 경우는 반음이 2대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꼭 기억할 것은.....1도 4도 5도 8도는 완전 음정 입니다. 다음 반음의 수와 음정과의 관계입니다. (꼭 건반을 생각하고 읽어보세요!)
|
예를 들어 음정이 3도인 경우 반음이 없을 때는 (ex: 도~미, 파~라, 솔~시.,,) 장3도가 되면 반음이 하나있을때는 (ex: 레~파, 시~레, 미~솔...) 단3도가 됩니다. 4도와 5도는 완전음정이라서 장이나 단음정으로는 절대 쓸수 없고 증이나 감음정으로 (반음 늘고 줄때...) 표기 할 수 있습니다. 6도아 7도는 장이나 단음정으로 표기하며 6도 사이에서 반음이 1개 있을 경우에는 장6도장7도) 반음이 2개인 경우에는 단6도 (단7도)가 됩니다. |
출처 : 사랑을 나누는 가브리엘
글쓴이 : 브라운홍 원글보기
메모 :
'김상훈의 낡은 서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음계와 메이저스케일 (0) | 2009.02.03 |
---|---|
[스크랩] 음계와 마이너스케일 (0) | 2009.02.03 |
[스크랩] 음정2 (0) | 2009.02.03 |
[스크랩] 음정1 (0) | 2009.02.03 |
[스크랩] 음정 (0) | 2009.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