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훈의 낡은 서랍

[스크랩] 보표와 음자리표

시인 김상훈 2009. 2. 3. 04:33

제2장 보표와 음자리표

1. 보 표

   보표란 보이지 않는 소리의 높낮이를 시각화하기 위한 5개의 평행선을 말한다. 평행선의 상하로 음표를 적어넣어 시각화할 수 있는 오선을 보표라 말하한다. 줄은 밑에 줄부터 첫째 줄, 둘째 줄, 셋째 줄, 넷째 줄, 다섯째 줄이라 부르고, 줄과 줄 사이를 간(間)이라 말하며 역시 첫째간, 둘째간, 셋째간, 넷째간이라 부른다. 각각의 줄과 간에 고유의 음 높이를 부여하여 보편화 시킴으로 음악을 연주하는데 있어 보다 편리하게 하는 것이 보표라 할 수 있다.

   아래 보표는 위의 5개의 줄과 간이 부족할 때 짧은 줄을 아래와 위에 덧붙여 음을 적을 때 사용하는 것을 덧줄이라 한다. 아래 그림은 위 아래 세줄의 덧줄을 부여했지만 필요에 따라 더 많은 덧줄을 사용할 수 있다.

 

2. 음자리표와 큰 보표

   음은 보표의 줄 또는 간에 적어 넣는데 이것만으로 간과 줄에 적어 넣은 음표의 기준을 정하기 힘들다. 음자리표는 그러한 음의 기준점을 정하여 주는 일종의 기호라 할 수 있다. 높은 음자리표, 낮은 음자리표, 가온 음자리표의 세가지가 있다.
   높은 음자리표는 솔을 기준으로 하여 원을 그리며 그려지기 때문에 솔(G)에 해당하는 사 음자리표라고도 한다.     낮은 음자리표는 점 두 개의 사이가 파(F)에 해당하는 바 음자리표라고 한다.
   마지막으로 대중 음악에서는 흔히 쓰이지 않는 가온 음 자리 표는 도(C)에 해당하는 다 음자리라고도 하며 가온 음 자리는 기호의 위치를 달리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뮤직 필드 강의에서는 높은 음자리표와 낮은 음자리표의 두 가지 형태를 사용하여 강의한다.

   아래 그림은 피아노나 오르간과 같이 비교적 음역이 넓은 악기에서 주로 사용하며 높은 음 자리나 낮은 음 자리에 덧줄을 무작정 쓸 수는 없기 때문에 높은 음 자리에는 높은 쪽의 음을 낮은 음자리표에는 낮은 쪽의 음을 기입하여 사용하다. 뮤직 필드에서 강의 하고 있는 베이스 기타에서 낮은 음 자리 표를 사용한다. 이밖에도 보표를 여러개 사용하여 각각의 파트를 동시에 기입할 수 있도록 두 개 이상의 보표를 사용하기도 한다.

출처 : 사랑을 나누는 가브리엘
글쓴이 : 브라운홍 원글보기
메모 :

'김상훈의 낡은 서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음정1  (0) 2009.02.03
[스크랩] 음정  (0) 2009.02.03
[스크랩] 빠르기 및 나타냄 말  (0) 2009.02.03
[스크랩] 박 과 박자  (0) 2009.02.03
[스크랩] 음 이름과 음표,쉼표  (0) 2009.02.03